“적은 수입도 시스템만 잘 짜면, 돈은 남습니다 ”
💬 이런 분들에게 오늘 글이 꼭 필요합니다.
- 월급이 적어서 돈 관리는 ‘다음 생’ 이야기라 느끼는 분
- “지금은 벌이가 작으니 나중에 돈 모을래요”라는 분
- 수입이 작지만 포기하지 않고 시작하고 싶은 분
💡 소득이 작아서 예산 설계를 못하는 게 아닙니다.
예산 설계를 안 해서 더 작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 월급 200, 어디부터 설계할까?
✅ Step 1. 고정지출은 ‘최소화’가 생명
* 총 수입: 2,000,000원 (실수령 기준)
항목 | 금액 | 비고 |
월세 | 500,000 | 가능하다면 룸메이트 활용 |
관리비/공과금 | 100,000 | 계절 따라 변동 가능 |
통신비 | 30,000 | 알뜰폰 요금제 활용 |
교통비 | 60,000 | 정기권 사용 기준 |
보험료 | 80,000 | 꼭 필요한 보장만 유지 |
→ 고정비는 770,000원으로 설정
👉 월급의 약 38%로 마무리하는 것이 포인트.
👉 월급의 약 38%로 마무리하는 것이 포인트.
✅ Step 2. 가변지출은 ‘항목 줄이기’부터
항목 | 금액 | 비고 |
식비 | 250,000 | 주 3회 집밥 중심 |
여가/취미 | 50,000 | 월 1~2회 소소한 소비 |
쇼핑 | 30,000 | 계절별 1~2회 집중 소비 |
구독서비스 | 10,000 | 유튜브 프리미엄 등 |
예비비 | 30,000 | 비상용 간식/약값 등 |
👉 총 370,000원으로 조정
‘쓰는 범위’를 정하는 것만으로도 지출 스트레스가 줄어듭니다.
✅ Step 3. 저축과 비상금은 ‘선입금’
항목 | 금액 | 메모 |
자동저축 | 300,000 | 숨김통장 자동이체 |
비상금 적립 | 50,000 | CMA 통장 활용 |
단기 목표 저축 | 60,000 | 여행, 명절, 경조사 등 |
👉 월 410,000원 저축 가능
총소득의 20% 이상을 먼저 ‘지켜내는’ 구조로 설계
🧩 월급 200 소비 설계표 요약
카테고리 | 금액 | 구성 비율 |
고정비 | 770,000 | 38.5% |
가변비 | 370,000 | 18.5% |
저축/비상금 | 410,000 | 20.5% |
잔여/여유자금 | 450,000 | 22.5% (여유 또는 추가저축) |
💡 핵심은 소득이 적어도,
👉 비율 중심으로 돈 흐름을 구조화하는 것입니다.
🔧 실전 팁
"적은 돈도 ‘보이는 시스템’으로!"
- 통장은 고정비/가변비/저축 3개로 분리
- 자동이체일을 월급일 기준으로 설정
- 소비 계획은 ‘일주일 단위’로 나누면 더 실천하기 쉬움
- 예산표는 매주 토요일 저녁 10분 확인 루틴화!
✨ 결론
- 수입이 작아도 ‘예산’은 충분히 설계할 수 있습니다.
- 문제는 ‘얼마를 버냐’보다
👉 ‘그 돈을 어떻게 흘려보내느냐’ 입니다. - 예산표가 있다면, 적은 돈도 ‘쌓이는 구조’가 만들어집니다.
📝 나에게 질문
- 나는 월급을 받고 나서 먼저 쓰는 건 무엇인가요?
- 현재 내 예산 구조는 몇 개 항목으로 나뉘어 있나요?
- 오늘 알려드린 설계표에서, 지금 바로 실천 가능한 부분은?
🔜 다음 글은 돈이 어디로 쓰이는지 지출 흐름이 손에 잡히는 방법에 대해 얘기해 볼거에요.
👉 [ 다음글 보기 ▶ ]
'실천 도구와 자료 > 예산 지출 관리 도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상금 통장은 따로 있어야 하는 이유와 설계법 (0) | 2025.07.12 |
---|---|
앱 없이도 가능한 아날로그 돈 관리법 (6) | 2025.07.12 |
지출 습관 교정기 – 일주일 예산 일지 실전편 (8) | 2025.07.11 |
월마다 예산표가 있다면 달라지는 돈의 흐름 (10) | 2025.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