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천 도구와 자료/예산 지출 관리 도구

월마다 예산표가 있다면 달라지는 돈의 흐름

by 마니모아 2025. 7. 10.

“한 달이 지나도 통장 잔고가 그대로인 이유, 예산표에 답이 있다”

💬 이런 생각 해본 적 있으신가요?

  • “이번 달에도 왜 돈이 남지 않지…?”
  • “내가 뭘 얼마나 쓰는지도 모르겠어요”
  • “계획 없이 쓰다 보니, 저축은 늘 다음 달 이야기…”

그렇다면 지금 바로 예산표부터 만들어야 할 때입니다.
예산표는 돈이 모이는 시작점입니다.
오늘은 누구나 쉽게 시작할 수 있는
월 예산표 작성법무료 양식을 함께 소개해드릴게요.

📌 왜 예산표가 필요한가요?

✅ 1. 돈의 ‘흐름’을 예측할 수 있다

예산표를 작성하는 순간,
내 돈이 ‘어디서 나가고 어디로 들어오는지’ 흐름이 보입니다.

✅ 2. 소비에 대한 ‘선택 기준’이 생긴다

한도를 정해두면,
"이거 살까 말까?"라는 고민이 줄어듭니다.
✔ 쓰기 전에 한 번 더 생각하게 되는 습관이 생기죠.

✅ 3. 저축/투자 비중을 조절할 수 있다

저축은 "남는 돈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예산표에서 먼저 저축액을 고정시켜야,
비로소 돈이 남기 시작합니다.


📝 월 예산표 작성법 – STEP by STEP

✅ STEP 1. 월 수입 정리하기

구분 금액
급여 2,500,000
부수입 (예: 블로그, 투잡) 200,000
총합계 2,700,000
 

👉 총수입은 "실수령액 기준"으로 계산하세요.

✅ STEP 2. 필수 지출 항목 적기

항목 예산 비고
월세 600,000 고정지출
관리비/공과금 120,000 변동 가능
통신비 50,000 저가 요금제
교통비 100,000 대중교통 중심
보험료 150,000 정기납 보험
식비 300,000 외식 포함
 

👉 여기까지는 "꼭 써야 하는 돈"입니다.

✅ STEP 3. 가변 지출 항목 구성 

항목 예산 비고
쇼핑/의류 100,000 월 1회 기준
문화생활 50,000 넷플릭스/OTT 포함
취미/여가 50,000 독서, 운동 등
예비비 50,000 비상 소비 대응
 

✅ STEP 4. 저축 & 투자 계획 세우기

항목예산
항목 예산
정기적금 300,000
CMA 비상금 100,000
목표 저축 200,000
투자 (ETF 등) 100,000

✔ 수입에서 가장 먼저 빼야 할 항목입니다!

👉 남은 돈을 저축하는 게 아니라,
      저축을 빼고 남은 돈으로 쓰는 것이 예산의 핵심입니다.

 

🧩 TIP. 예산표를 '1번' 쓰고 끝내지 마세요

예산표는 한 번 쓰고 끝내는 계획표가 아니라,
매달 ‘피드백’하고 조정해야 하는 '살아있는 문서'입니다.

  • 첫 달은 초안만 만들기
  • 둘째 달엔 실지출과 비교
  • 셋째 달부터 최적화된 내 예산표 완성!


✨ 결론

  • 예산표는 '돈을 지키는 가장 단순한 시스템'입니다.
  • 월급을 받고, ‘한 달 지출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것만으로
    👉 지출 스트레스를 절반 이상 줄일 수 있어요.
  • 그리고, 이 모든 건 ‘예산표 하나’로부터 시작됩니다.


📝 나에게 질문

  • 나는 지금 내 한 달 지출 흐름을 정확히 알고 있을까요?
  • 고정비 vs 가변비를 구분해서 관리하고 있나요?
  • 오늘부터 바로 예산표 작성을 시작해보면 어떨까요?


🔜 다음 글은  월급이 적다고 나중에 모든다고 미루는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얘기를 해볼거에요.
👉 [  다음글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