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의 철학/돈을 다스리는 관점

“돈은 자유다”라는 말의 진짜 뜻

by 마니모아 2025. 6. 20.

 

“그래도 돈이 있어야 자유롭지!”

 

어릴 적부터 그리고 사회에 나와서도 수없이 들었던 말이다.

근데 어느 날 문득 이 말이 좀 이상하게 느껴졌다.

왜냐하면, 돈이 있어도 자유롭지 않은 사람을 너무 많이 봤기 때문이다.
심지어 나조차도 그랬다.

 

💭 돈이 있어도 왜 자유롭지 못할까?

회사에 다니며 적금을 들고 보너스를 받으면 비상금을 모으고,
주말마다 가계부도 써본다. 그런데도 무언가에 쫓기는 기분은 사라지지 않았다.
자유롭기보단, 오히려 더 많은 책임과 압박 속에 갇히는 느낌이었다.

“돈이 나를 자유롭게 만들기보단,
돈에 맞춰 살아가는 내가 된 기분이었달까?”

 

🧠 돈은 ‘조건’이 아니라 ‘도구’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돈 = 자유”는 실제로는 이런 의미에 가깝다.

“돈은 내가 원하는 삶을 선택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


그런데 이걸 오해하면 이렇게 된다.

“돈이 있어야만 자유로워질 수 있어.”
→ 그리고 그 돈의 기준은 점점 올라간다.
→ 결국 돈을 쫓느라 자유를 잃는다.

 

📌 자유롭지 않은 사람들의 특징

상황 특징
월급이 오르면 소비도 같이 늘어나며 불안감 유지
저축이 많아질수록 “이 돈을 잃으면 어떡하지?” 하는 두려움 증가
수입이 안정돼도 “언제 끊길지 몰라”라는 압박감 존재
 

이들은 공통적으로 돈을 '수단'이 아닌 '조건'으로 만들고 있다.
그러니까 자유로워질 수가 없다.

💡 보도 쉐퍼는 이렇게 말했다:
“진짜 자유란,당신이 ‘돈 때문에’ 원하지 않는 선택을 하지 않아도 되는 상태다.”

✔️ 돈이 많다고 자유로운 게 아니다.
✔️ 돈이 있어도, 그 돈이 나를 휘두르면 자유가 아니다.

✅ 진짜 자유를 위한 질문

돈이 많아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내가 지금 이 돈으로 어떤 선택을 할 수 있는가?” 이다.

다음의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보자.

  • 지금 내 소비는 내가 선택한 것인가, 타인의 시선 때문인가?
  • 나는 돈을 통해 ‘하고 싶은 것’을 할 수 있는가?
  • 이 돈이 없어진다고 해서 내 자존감이 무너지지는 않는가?

이 질문에 “그렇다”고 대답할 수 있을 때,
우리는 돈을 통해 조금씩 진짜 자유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이다.

✨ 결론

✔️ 돈은 자유의 '조건'이 아니라, 자유를 위한 '도구'다.
✔️ 돈이 나를 조종하지 않을 때, 비로소 나는 자유로워질 수 있다.
✔️ 진짜 자유는 돈의 크기가 아니라, 선택권의 크기에서 나온다.

📝 나에게 질문

나는 돈 때문에 원하지 않는 선택을 하고 있지는 않은가❓ 
지금의 나에게, 돈은 자유를 주는가? 아니면 감옥이 되고 있는가 ❓


다음 편에서는
“돈은 흐름이다 – 멈춰 있는 돈이 나를 불안하게 한다”를 주제로 이어갑니다.
막스 퀸트의 철학을 현실적인 저축 전략과 연결해볼게요.


📍[ 다음글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