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목돈 모으기 전략/경제적 독립 만들기

비상금 없이 사는 건 무방비 상태로 사는 것

by 마니모아 2025. 7. 1.

“갑작스러운 일에 당황하지 않으려면, 준비된 돈이 필요하다”

🫣 “이번 달은 좀 버거운데, 적금 좀 깰까요?”

  • 갑자기 치과 진료를 받게 됐을 때
  • 친구 결혼식이 겹쳐서 2번이나 축의금을 냈을 때
  • 명절, 부모님 용돈을 준비해야 할 때

이럴 때 우리가 가장 먼저 떠올리는 말

“적금이나 깨야겠다…”

하지만 이게 반복되면?
 저축은 자꾸 무너지고 돈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갑니다.

❗문제는 예기치 못한 지출이 아니라,

그 지출을 받을 ‘쿠션’이 없다는 것!

그래서 필요한 게 비상금입니다.
말 그대로, ‘나를 지켜주는 돈의 방패’예요.

💡 비상금이란?

  • 매달 정기적으로 쓰는 돈은 아니지만
  • 갑자기 ‘꼭’ 써야 하는 순간 등장하는 돈
  • 생활비도 아니고, 저축도 아닌 제3의 돈

✅ 1인 가구를 위한 현실적인 비상금 전략

① 금액 기준은 최소 3개월치 생활비

  • 통신비, 식비, 교통비, 월세 등 고정비 포함
  • 한 달 생활비가 120만 원이라면 → 비상금 최소 360만 원

👉 꼭 한 번에 마련할 필요는 없어요.
매달 10만 원씩, 자동이체로 따로 모으기부터!

② 통장 분리 원칙

비상금은 꼭!
생활비 통장과 분리된 계좌에 보관해야 합니다.

* 추천 형태

  • CMA통장 (증권사)
    → 하루만 넣어도 이자가 붙고, 입출금 자유
  • 자유입출식 예금
    → 출금은 쉽되, 평소에 건드리지 않게끔 이름 설정
    → 예: 통장이름을 “진짜_위급할때만”으로 설정해두기 😅


③ 사용 기준 세우기

비상금을 언제 꺼낼지 기준이 없으면
그냥 ‘자주 꺼내는 통장’이 돼버립니다.

내 비상금은 이런 때만 쓴다! 라는 기준을 정해두세요

  • 갑작스러운 의료비
  • 갑작스러운 퇴사나 일감 중단
  • 사고, 고장, 가족 경조사 등 '예상불가' 상황

🔁 비상금이 있는 삶과 없는 삶의 차이

상황 비상금 없는 경우 비상금 있는 경우
병원비 발생 적금 해지 비상금으로 해결
일시적 무직 신용카드로 버팀 최소 3개월 버팀
돌발 지출 카드 돌려막기 상황 넘기고 루틴 유지
 

비상금은 당장의 위기도 넘기지만,
당신의 저축 루틴도 지켜줍니다.

 

✨ 결론

  • 적금을 깨지 않으려면 비상금이 따로 필요합니다.
  • 비상금은 통장 분리 + 금액 기준 + 사용 기준이 핵심.
  • 1인 가구일수록 비상금은 ‘경제적 독립의 방패’입니다.

📝 나에게 질문

  • 내 비상금 통장은 따로 있나요?
  • 지금 내 비상금으로 몇 개월을 버틸 수 있나요?
  • ‘비상시에만 쓰는 돈’이라는 기준이 있나요?


다음 글은 혼자서 목돈 만드는데 필요한 금융상품들에 대해 알아볼거에요.

📍[ 다음글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