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금으로 쌓는 첫 번째 시스템, 생각보다 단순했다”
“풍차돌리기요? 그거 머리 아픈 거 아니에요?”
이거 괜찮은 건가? 라는게 저의 첫 반응이었어요.
“적금을 12개? 매달 하나씩? 그걸 계속 유지해?”
…들으면 들을수록 ‘쉽진 않을 거 같은데...’라는 생각부터 들더라고요.
근데 풍차돌리기에 대해서는 인터넷에서 많이 보기도 했고
괜찮다고 들어는 봤지만 막상 하려니 복잡해 보이기도 하고
귀찮기도 해서 망설여지는 것은 사실이었어요.
그래도 한번은 해보고 어떤지 봐야겠다 싶어서 결심했죠.
“일단 해보고. 잘 안 되면 다시 돌아오면 되지 뭐.”
💡 풍차돌리기, 어떻게 돌아가는 거냐면요
간단히 말하면, 기본적인 개념은
매달 하나씩 1년 만기 적금을 드는 거예요.
- 1월: A 적금 가입
- 2월: B 적금 가입
- 3월: C 적금 가입
… - 12월: L 적금 가입
그럼 1년 뒤부터는
매달 만기 적금이 하나씩 돌아오게 되는 거죠.
✔️ 이 돈을 다시 적금으로 굴리면?
👉 ‘만기 돈 + 새 적금’을 반복하며
점점 목돈이 쌓이는 구조가 됩니다.
하지만, 1년이라는 시간이 너무 길어보여서 더 짧게
풍차돌리기를 해 볼 수 있는 상품이 없을까 찾아봤어요.
오~~ 그런데 딱 맞는 상품이 있더라구요.
바로 카카오뱅크의 '한달적금'이라는 상품이었는데,
연이율도 괜찮고 풍차돌리기 연습에 아주 좋은 상품으로 보여 바로 시작해봤습니다.
상품의 이자율은 기본 1.5%인데 하루 하루 입금할 때마다 이자율이 추가되는 구조였고
만기일은 31일로 정해져 있었어요.
우선 첫날부터 5일까지 5000원씩 5개를 가입했고 6일째부터
상품별로 31일을 매일 입금 했었는데 추가되는 이자율은 입금할 때마다
팝업으로 보여줘서 지루하지 않았네요.
상품마다 31일이 끝나는 구조라 마지막 상품이 끝나기까지
5개 상품의 전체 만기 기간은 31일 + 4일이 걸렸는데
압축으로 경험하긴 했지만 월단위로도
풍차 돌리기가 이런 느낌이겠구나~~라고 느껴 볼 수 있었어요.
🧠 해보니까 알겠더라고요. 핵심은 ‘금액’ 조절
많은 사람들이 이걸 어려워하는 이유는
처음부터 큰 금액으로 시작하려고 해서예요.
💬 “12개 적금이면 한 달에 120만 원은 넣어야 하지 않아요?”
🙅♂️ 아니요!
1개에 1만 원만 해도 됩니다.
(실제로 1만 원 적금도 많고, 모바일 앱으로 금방 가입 가능해요.)
참고로 카카오뱅크 한달적금은 하루에 5000원 ~ 3만원 까지 가능해요.
✔️ 핵심은 ‘계속 유지하는 습관’이지, 처음부터 큰돈을 넣는 게 아니에요.
🔁 풍차돌리기의 진짜 힘, 시스템이 만든 꾸준함
이 구조의 가장 큰 장점은 뭐냐면요,
의지를 덜 써도 된다는 거예요.
한 번 루틴이 만들어지면
그다음부터는 자동이체가 굴려주고
‘매달 만기 → 다시 저축’이 자연스럽게 굴러갑니다.
✔️ 이렇게 한 번 시스템이 만들어지면,
돈이 ‘쌓이는 맛’을 처음으로 느끼게 돼요.
✅ 저처럼 해보는 걸 추천드려요!
- 한달적금으로 우선 풍차돌리기 경험을 해보시길 권해드려요!!!
- 그런뒤, 월단위로 가입 가능한 금액과 갯수를 정한 후
- 첫 달에 적금을 하나 만들기
- 다음 달, 또 하나 더 만들기
- 금액은 무조건 부담 없이 (1만~5만 원도 좋아요)
- 6개월 후, 통장에 쌓인 돈을 한번 보고 깜짝 놀라기 😄
✨ 결론
✔️ 풍차돌리기의 핵심은 ‘금액’이 아니라 ‘루틴’이다.
✔️ 시스템만 잘 짜면, 돈은 생각보다 조용히 쌓인다.
✔️ 지금 1만 원부터 시작해도, 그게 목돈의 시작이 된다.
📝 나에게 질문
- 지금 당장, 1만 원짜리 적금 하나 만들 수 있을까?
- 매달 자동이체로 들어가는 루틴을 내가 설정해봤는가?
- 6개월 후의 통장을 상상해본다면 어떤 모습일까?
다음 글은 카드를 하나 줄였을 뿐인데,
지출 구조가 달라지는 이야기를 이어갑니다.
📍[ 다음글 보기 ▶]
'목돈 모으기 전략 > 지금 바로 쓸 수 있는 구조 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 쓰지 말자’는 전략이 실패하는 이유 (6) | 2025.06.26 |
---|---|
매일 천 원, 3개월 뒤 내 통장에 생긴 놀라운 변화 (7) | 2025.06.26 |
카드 한 장 줄였더니 통장에 돈이 남기 시작했다 (2) | 2025.06.25 |
돈이 늘 도망가는 사람의 통장 특징 3가지 (4) | 2025.06.25 |